동해안 산불이 날 때마다 피해를 키운 이유 중 하나로 소나무가 지목됩니다.
소나무의 송진이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데다, 나무의 수분도도 낮기 때문인데요.
산불 피해 산림을 복구하는데도 여전히, 소나무 등 침엽수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3월, 강원도 강릉과 동해를 할퀴고 간 산불.
산림 등 4천만㎡가 불타 300억 원 넘는 피해가 났습니다.
해변을 따라 빼곡한 소나무가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당시, 화마가 지나간 동해시 산간마을입니다.
산 능선을 따라 산비탈이 거대한 민둥산으로 변했습니다.
불에 까맣게 그을린 나무들은 다 잘려나가 밑동만 남았습니다.
그 사이 사이로, 어린 나무를 심는 복구 사업이 한창입니다.
소나무 묘목입니다.
도로변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다시 소나무로 채워지고 있습니다.
산불로 민둥산이 된 양양군의 또 다른 야산.
역시, 소나무가 뿌리를 내렸습니다.
2019년 동해안 산불 피해지 가운데 복구 조림이 끝난 건 1600만 제곱미터.
70% 넘는 면적에 다시, 소나무와 낙엽송 등이 자라고 있습니다.
산주인 입장에선 돈이 되기 때문입니다.
목재나 관상수로 팔 수 있고, 송이 채취로 부수입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동해안 기후와 토양에서 침엽수가 잘 자란다는 이유도 있습니다.
강원도와 시군은 침엽수 비율을 40% 아래로 낮춘다는 계획이지만, 산주들을 설득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산불에 강한 활엽수로 내화수림을 만들면 산불 강도를 60% 줄일 수 있습니다.
경제성에 밀려온 수종 전환이라는 과제를 더 미룰 수 없는 이유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대전 음주운전 가해자 전직 공무원 구속송치 (0) | 2023.04.17 |
---|---|
[이슈] 일본 오염수 방류 환영못해 G7 기자회견에서도 지적 (0) | 2023.04.17 |
[이슈] 정부 일본 오염수처리에 "과학적으로 안전하고 국제기준 부합해야" (0) | 2023.04.17 |
[이슈] 반군부세력이 미얀마군부 행사장에 보복 폭탄 공격…20명 중상 (0) | 2023.04.17 |
[이슈] 한미일, 동해 공해상에서 북 탄도미사일 방어 훈련 (0) | 2023.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