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이슈] 일반교통사고의 12배 높은 치사율

by 펜잘두통약 2023. 5. 14.
728x90
반응형

본격적인 영농철이 시작되자 전국에서 농기계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습니다.

농기계 교통사고 치사율은 일반 교통사고 치사율보다 훨씬 높습니다.

농촌 지역을 지나는 일반 차량도 방어운전에 신경 써야합니다.

경운기가 한 대가 농수로에 빠졌다는 신고를 받고 119구급대가 출동합니다.

경운기에 깔렸던 80대 운전자는 크게 다쳐 결국 병원으로 옮겨졌는데요.

이 밖에도 지난 7일엔 전북 남원에서, 다음 날인 8일엔 충북 영동에서도 농기계 사고가 잇따랐습니다.

최근 3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농기계 안전사고는 모두 300여 건.

특히 다친 사람 가운데 60% 가까이는 60세 이상 고령층이었는데요.

농기계를 다루는 것이 힘에 부치는 데다 위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오래 사용한 익숙한 장비에 대한 방심으로 안전에 소홀해지는 경우도 많은데요.

실제로 사고 유형을 보면 농기계 체인이나 벨트에 신체 일부가 끼이거나 농기계가 전복돼 눌리는 사고가 27.4%로 가장 많았습니다.

농기계에 타거나 내리다 떨어지는 추락 사고도 적지 않았는데요.

이 같은 농기계 사고를 예방하려면 사전에 조작법을 잘 알아두고, 자주 점검해 제대로 작동되는지 늘 확인해야 합니다.

또, 헐렁하고 소매가 긴 옷은 농기계 벨트나 체인 등에 말려들어 갈 위험이 있는 만큼 피해야 하는데요.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의 농기계 임대 사업소나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실시하는 안전 교육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 같은 농기계 사고를 예방하려면 사전에 조작법을 잘 알아두고, 자주 점검해 제대로 작동되는지 늘 확인해야 합니다.

또, 헐렁하고 소매가 긴 옷은 농기계 벨트나 체인 등에 말려들어 갈 위험이 있는 만큼 피해야 하는데요.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의 농기계 임대 사업소나 농업기술센터 등에서 실시하는 안전 교육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깜깜한 밤, 농기계가 등화장치를 달지 않고 도로를 달리는 것도 사고의 원인이 됩니다.

전방을 제대로 주시하지 않거나, 속도를 조금이라도 높였다간 사고로 이어지기 쉬운데요.

이 때문에 일반 차량 운전자들도 농촌 인근 도로를 지날 땐 속도를 줄이고, 방어 운전을 하는 게 안전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