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사망사고 3명 가운데 2명이 65세 이상 노인입니다.
아무래도 신체적인 능력이나 인지 능력이 젊을 때만 못한 게 영향이 있겠죠.
그럴수록 안전장비도 챙겨야 하는데 현실은 반대입니다.
왕복 4차선 도로를 달리던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가로지르는 자전거와 그대로 부딪힙니다.
핸드폰을 보며 역주행하던 자전거가 차를 들이받는가 하면 한적한 시골 도로에서 자전거 한 대가 갑자기 튀어나오기도 하는데요.
이 같은 자전거 사고는 날씨가 포근해지는 3월부터 늘기 시작해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5~6월까지 꾸준히 늘어납니다.
최근 3년간 자전거 사고로 다치거나 목숨을 잃은 사람은 3만 5천여 명에 달하는데요.
특히 사고로 숨진 세 명 가운데 두 명은 65세 이상 노인이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인지 능력과 운동 신경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인데요.
노인 자전거 운전자의 사망 사고가 많은 또 다른 이유는 안전모 등의 보호 장구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만약 사고가 나더라도 안전모를 쓰고 있었다면 충격을 흡수해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데요.
자전거 사고 사망자 10명 가운데 9명은 안전모를 쓰고 있지 않았습니다.
자전거는 차체에 특별한 안전장치가 없고, 운전자가 위험에 그대로 노출된 만큼 보호 장비 착용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이 때문에 자전거를 탈 땐 안전모를 꼭 챙기고 공기압, 브레이크, 체인 등도 꼼꼼히 살펴야 합니다.
또. 자전거를 탈 땐 휴대전화나 이어폰을 사용하지 말고 특히 음주 후에는 절대 타지 말아야 하는데요.
최근엔 지자체별로 사고를 줄이기 위해, 자전거 안전 교육을 하는 곳도 늘고 있습니다.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의 구청이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면 시민들을 위한 ‘자전거 교실’이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차도에서 자동차와 함께 자전거를 타는 게 위험하다고 느끼는 노인층이라면 보도를 이용하는 게 낫습니다.
노인이나 어린이, 장애인 등은 보도에서 자전거를 탈 수 있도록 관련법에서 예외를 인정하고 있는데요.
이때 자전거는 보도의 가운데에서 차도에 가까운 쪽으로 천천히 주행하면 됩니다.
만약 보행자 통행에 방해가 된다면 자전거를 일시 정지해 보행자를 보호해야 합니다.
#고령운전자 #자전거 #안전모미착용 #보호장구착용 #자전거안전교육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주말 대낮 음주단속 2시간에 28명 적발 (0) | 2023.05.01 |
---|---|
[이슈] 서울 도심 곳곳 대규모 노동절 집회 열려 (0) | 2023.05.01 |
[이슈] 美 의회조사국 “과도한 동아시아 반도체 의존이 반도체법 입법 배경” (0) | 2023.04.30 |
[이슈] 진화하는 자동차 보험사기 (0) | 2023.04.30 |
[이슈] 임창정, 주가조작 의심 세력 파티 참석 인정…“단순 초대손님이었다” (0)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