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출생아 수가 2만 명을 밑돌면서 5월 기준으로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
사망자 수는 코로나 19 영향을 받은 지난해보다도 소폭 증가해 5월 기준 역대 최대치였습니다.
통계청이 오늘(26일) 발표한 '2023년 5월 인구 동향'을 보면, 지난 5월 출생아 수는 1만 8,988명으로 1년 전보다 1,069명, 5.3% 감소했습니다.
출생아 수가 5월에 2만 명에 미치지 못한 것은 월간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처음입니다.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부터 90개월째 감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 '같은 달 기준 출생아 수 역대 최소' 기록은 2016년 4월부터 86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조출생률은 4.4명으로 지난해 5월보다 0.2명 감소했습니다.
시도별로는 충북(614명), 대전(628명), 울산(428명)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전년 동월 대비 출생아 수가 감소했습니다.
사망자 수는 2만 8,958명으로 1년 전보다 50명, 0.2%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5월 코로나 19로 사망자 수가 동월 기준 역대 최대치였는데, 그보다도 소폭 증가해 최고치를 경신한 겁니다.
통계청은 "코로나 19 영향이 있었던 지난해 5월보다도 사망자 수가 증가한 건 그만큼 고령자 사망이 많이 늘어났다는 뜻"이라며 "고령화로 고령자 인구 자체가 많아진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출생아 수는 줄고, 사망자 수는 늘면서 5월 인구는 9,970명 자연 감소했습니다. 자연 감소 규모가 지난해 5월(8,851명)보다 늘었습니다.
인구는 2019년 11월부터 43개월째 자연 감소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혼인 건수는 1만 7,212건으로 1년 전보다 171명, 1% 증가했습니다.
혼인 건수는 코로나 19에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하면서 지난해 8월부터 올해 3월까지 8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다가 지난 4월 9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는데, 5월에 다시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다만 증가 폭이 올해 1월에는 21.5%, 2월(6.6%)과 3월(18.8%)에는 10% 후반대였던 것과 비교하면 많이 축소됐습니다.
통계청은 "지난 4월 혼인이 감소세로 전환됐던 것이 일시적인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5월 혼인 증가 폭이 1%대 증가율인 만큼 6월에도 증가세가 이어질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혼 건수는 8,39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건, 0.3% 증가했습니다.
#출생아수 #역대최소치기록 #사망자수 #통계청 #2023년5월인구동향 #43개월째자연감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중국 청두시 시진핑 방문 동선 일부에서 테슬라 운행 금지 (0) | 2023.07.27 |
---|---|
[이슈] 방위사업청 한화 레드백 장갑차 호주군 전투차량 우선협상 선정 (1) | 2023.07.27 |
[이슈] 신림동 칼부림 사건 피의자 33살 조선 신상공개 (0) | 2023.07.26 |
[이슈] 환자 처방 전날것 그대로 복사 증언 나선 부산대학교병원 간호사들 (0) | 2023.07.26 |
[이슈] 유엔사 부사령관 일본 역할 확대하면 유엔사 대북억제력 강화될수있다 주장 (0) | 2023.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