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라 국지성 집중호우는 더 잦아지고, 초강력 태풍, 폭염 등 극한 기상이 자주 나타나고 있죠.
정부가 올여름 자연재난 종합대책을 내놨습니다.
지난해 침수로 사망자가 나왔던 반지하를 집중 관리하고, 폭염특보도 조금 달라집니다.
정부가 호우와 태풍, 폭염 등에 대비한 여름철 자연재난 종합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먼저, 풍수해 대책으로, 지난해 포항과 서울 신림 등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했던 '지하공간'에 대한 관리를 강화합니다.
기존에는 하천변과 지하차도 위주인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반지하 주택가 260여 곳과 경사지 태양광 90여 곳을 새로 발굴해 추가했습니다.
행안부는 인명피해 우려 지역에 대해서는 공무원이나 이 통장 등이 위험상황 시 사전점검하고, 출입 통제와 주민대피를 신속히 한다는 방침입니다.
아울러 물막이판이나 개폐형 방범창과 같은 지하공간 침수방지시설에 대해선 민간에서 설치 비용을 댔었지만, 이제는 지자체가 지원하고 있습니다.
피해주택 지원 기준도 상향해 전부 무너졌을 경우 기존 천6백만 원에서 앞으로는 면적별로 따져 최대 3천 6백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극단적인 호우가 발생하면 지자체가 아닌 기상청이 직접 재난문자를 보내 발송시간도 단축할 계획입니다.
예년보다 일찍 찾아온 더위 속에, 폭염 대책도 내놨습니다.
우선, 실효성 있는 폭염정보 제공을 위해 폭염특보는 기온뿐만 아니라 습도까지 반영해 발령합니다.
땡볕에서 일하다 다치는 경우를 막기 위해, 고령 농업인을 밀착 관리하고 폭염 위기경보 심각단계가 내려지면 공사중지를 권고할 방침입니다.
아울러 전기요금 인상으로 냉방 부담이 커진 취약계층에겐 하절기 에너지비용을 평균 4만 3천 원, 경로당에는 평균 11만 5천 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기후변화 #국지성집중호우 #초강력태풍 #자연재난종합대책 #지하공간에대한관리강화 #지자체가아닌기상청이직접재난문자발송 #실효성있는폭염정보제공 #기온뿐만아니라습도까지반영 #지하공간침수방지시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마스크 의무 해제 첫 연등회 도심 곳곳 교통 통제 (0) | 2023.05.20 |
---|---|
[이슈] 13년 만에 최신 호위함으로 부활한 ‘천안함’ 연말 서해 배치 (0) | 2023.05.19 |
[이슈] WMO의 경고 지금부터 5년 가장덥다 (0) | 2023.05.19 |
[이슈] 챗GPT 모바일에서도 이용한다 오픈AI, 아이폰용 앱 출시 (0) | 2023.05.19 |
[이슈] 제주대학병원 영아 오투약 사망 사건 쌍방항소 (2) | 2023.05.19 |
댓글